반응형
5천만 원짜리 신차를 뽑아서 신나게 타고 다녔습니다. 2년 후 중고시장에 판매할 때 3천만 원에 팔았습니다. 그럼 2년 동안 차량의 가치는 2천만 원이 떨어졌습니다. 2천만 원은 차량이 감가 되었다고 합니다. 자산을 사용함으로써 비용이 발생한 것이 바로 감가상각비입니다.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방식에는 정액법, 정률법, 연수합계법이 있습니다. 하나씩 알아보도록 합시다.
정액법
5천만 원 신차를 5년 동안 타고 1천만 원에 중고차로 판매하였다고 합시다. 정액법을 사용해 감가상각비를 구해봅시다.
취득가액 : 50,000,000원, 잔존가치 : 10,000,000, 내용연수 : 5년
감가상각비 = (50,000,000 - 10,000,000) / 5 = 8,000,000원입니다.
내용연수는 신차를 얼마 기간 동안 탈 것인지 예상되는 기간입니다. 우리는 신차를 사면 무료 서비스 보증기간 동안 타고 중고차로 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보증기간이 끝나서 고장이 나면 수리비가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신차를 사서 중고차로 판매하는 기간이 바로 내용연수입니다. 잔존가액은 중고차를 판매할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정액법은 시간 경과에 따라 매년 균등하게 감가상각비가 발행합니다. 매년 8,000,000원씩 감소합니다. 감가상각누계액은 매년 감가상각 되는 비용을 더한 값입니다.
반응형
'Review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도가능증권 분개 방법 (0) | 2022.09.26 |
---|---|
감가상각비 정률법 구하는 방법 (0) | 2022.09.08 |
주식 액면발행, 할증발행, 할인발행 분개 방법 (1) | 2022.09.06 |
대손상각비, 대손충당금 분개 방법 (0) | 2022.09.05 |
한글 여백 없애는 방법 (0) | 2022.06.14 |
댓글